티스토리 뷰

세렌디피티 뜻, 뜻밖의발견:: 과학사적 대표적 예시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세렌디피티 뜻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erendipity(세렌디피티)란 옥스퍼드 영어사전에서는 뜻밖의 재미(기쁨)이라고 정의하고 있군요. 단순히 뜻밖의 재미라는 뜻으로만 알고 있다면 우리는 이 단어에 대해 잘 모르는 것 입니다. 



1. 세렌디피티의 어원


세렌디피티(serendipity)는 Horace Walpole(1717-1797)이 최초로 만들어낸 단어입니다. 바로 "The Three Princes of Serendip"이란 페르시아 우화를 통해 만들어진 단어인데요. 이 우화에서는 주인공들이 우연히 새로운 것들을 발견해 내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고 합니다. 


영어 사전들에서는 세렌디피티의 뜻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Ferguson : random적인 요소로 인한 발견이 아닌 좋은 발견

Austin : 일부러 찾으려고 하지 않았지만, 발견된 것들

Tolson : 기분좋은 놀라운 발견


2. 세렌디피티의 과학사적 대표적 예시



1) 플레밍의 리소자임, 페니실린 발견


영국의 미생물학자인 플레밍은 세균에 대한 실험을 하는 도중 세균 배양기에 콧물을 떨어뜨립니다. 그런데 이러한 콧물이 들어간 세균 배양기에서는 위대한 일이 벌어집니다. 바로 콧물 속에 있는 물질이 세균들을 죽이고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콧물 속에 세균의 세포막을 파괴시키는 물질인 리소자임이 들어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 것입니다. 뜻밖의 발견을 통해 인류에 센세이션을 안겨준 이러한 사건을 세렌디피티라고 합니다.


페니실린의 발견도 마찬가지입니다. 세균 배양기에 푸른 곰팡이 포자가 앉았는데, 여기에서 세균을 죽이는 물질을 발견합니다. 바로 최초의 항생제 페니실린을 발견하게 된 것이죠. 


자세한 이야기는 아래의 포스팅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017/05/03 - 페니실린의 발견 :: 최초의 항생제 발견자, 플레밍



2)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


이탈리아의 탐험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1451~1506)는 지구가 둥글다고 확신합니다. 갈릴레이가 지구는 둥글다고 최초로 진언한 후에 사람들은 점점 지구가 둥글다는 가설에 대해 동의를 하기 시작합니다. 지구가 둥글다면 아시아로 가는 길이 훨씬 수월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당시 유럽에서 아시아를 가고자 하는 이유는 향신료 수입을 위해서 였습니다. 향신료는 돈이 되는 장사거리였고, 콜럼버스는 많은 돈을 벌기 위해 새로운 항로를 개척하고자 했습니다. 

1492년 8월 콜럼버스 일행은 스페인의 팔로스 항구를 출항했습니다. 콜럼버스는 대서양을 향해 계속 항로를 개척해나갑니다. 그렇게 70여일을 항해하다보니 어느덧 새로운 섬을 발견하게 됩니다. 카리브해에 있는 아이티섬과 쿠바근처의 땅이었지요. 이 때 까지만해도 콜럼버스는 아메리카 대륙의 땅들을 인도로 착각합니다. 이것이 아메리카 대륙을 '서인도'제도라고도 부르게 된 이유이기도 합니다.

원래의 의도와는 다르게 발견된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 역시 세렌디피티의 한 예시입니다. 




3) 노벨의 다이너마이트 발명


노벨상으로 유명한 노벨은 폭탄제조를 위한 니트로글리세린을 제조하는 공장을 만듭니다. 당시 광산에서 폭파용으로 사용하던 니트로글리세린은 폭발성은 아주 뛰어났지만, 휘발성이 매우 강하고, 작은 충격에도 폭발이 잘 일어났기 때문에 안전성에 문제가 많았습니다. 

노벨은 니트로글리세린의 폭발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고안하지만, 계속 실패를 거듭합니다. 그러던 어느날 니트로글리세린 공장의 폭발은 노벨의 친동생의 목숨까지 앗아갑니다.

노벨은 어느날 니트로글리세린이 든 통에서 액체가 새나오는 것을 목격합니다. 줄줄 샌 니트로글리세린 액체는 규조토에 잘 스며들고 있는 모습을 봅니다. 노벨이 큰 발견을 이루어내는 순간입니다. 규조토에 니트로글리세린을 흡수시킨다면 운반에도 용이하고 폭발문제에서도 자유로울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규조토에 니트로글리세린을 스며들게 해 말린 제품이 바로 다이너마이트고 과학사에서 세렌디피티의 대표적 예시 중 하나입니다.


4) 뢴트겐의 X선 발견


독일 출신의 빌헬름 뢴트겐은 음극선관을 이용한 연구를 하던 과학자 중 한사람이었습니다. 뢴트겐은 음극선관을 이용하여 음극선의 성질에 대하여 연구중이었습니다. 음극선관을 검은 종이(시안화백금바륨)로 싸 놓고 실험을 하였는데, 이 때 형광빛이 번쩍이는 것을 관찰합니다. 그리고 형광빛에 자신의 손을 집어넣고 음극선관에서 나오는 광선을 보니, 골격구조가 형광판에 나타남을 발견합니다.

X선을 최로로 발견한 순간이었으며, 제1회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하게 되는 영예를 이룹니다. X선은 의료분야의 엄청난 혁명을 이루었으며, 우리 신체 내부를 최초로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뢴트겐 역시 세렌디피티의 한 예시 중 하나입니다. 뢴트겐은 X선을 발견하고자 하지 않았습니다. 어느날 우연한 기회가 그 앞에 펼쳐졌고, 이를 유심히 관찰하고, 호기심을 가진 채 연구하자 X선이라는 행운을 하늘에서 내린듯 합니다.

5) 제너의 종두법

1795년 영국의 에드워드 제너는 최초의 예방접종을 시도했습니다. 당시 영국에서는 천연두라는 감염병으로 수많은 사람의 목숨을 앗아갔습니다. 제너는 소젖을 짜는 일꾼들이 천연두에 걸리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소의 경우에도 천연두와 유사한 병이 있는데, 이러한 병이 사람에게 옮겨 붙으면 천연두보다 훨씬 미약하게 앓고 지나간다고 하는 것이었죠. 최초의 백신이 발견되는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백신은 급속도로 전파되어 세계 모든 사람들이 이용하기에 이르렀습니다. 미약한 세균 및 바이러스를 인체에 넣어 면역력을 강화시키는 방법은 천연두, 결핵과 같은 큰 질병을 막을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상 세렌디피티 뜻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세렌디피티는 과학사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우리에게도 어쩌면 행운과 같은 일들이 펼쳐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이를 포착하고 관심을 가지는 것이 더 중요한 일이겠지요. 







댓글